자녀의 키가 생각보다 많이 크지 않아 걱정하는 부모들이 많이 계십니다. 저 또한 아이의 성장이 느리다고 판단해서 소아과에서 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는 만큼 관심 있는 주제입니다. 그래서 금일은 아이성장발달 계산기 사용법과 아이 성장표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이 글을 읽으면 알 수 있는 정보
- 키 발달 관련 검진 후기
- 아기성장발달 계산기 홈페이지
- 성장도표 보는 법
- 키 크는데 좋은 스트레칭
1. 아이 키 검진 후기
아이 키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매번 하는 영유아 검진 때 눈에 띄게 키가 자라는 속도가 더뎌졌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조금 큰 소아과에서 성장 관련 상담을 한 적이 있습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앞서 기록된 성장 곡선과 비교하면 키 성장이 느려진 것은 맞지만 우려할 수준은 아닙니다. 현재 또래에 비해 하위에 속하지만 최하위 (밑에서 1-2명 정도)가 아니라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당분 섭취가 키에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 "개월 수가 낮아 우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면 시 성장통을 호소한다면 심할 경우 해열제 복용을 권장드립니다."
소아과 성장 관련 문의 中
성장클리닉과 예상키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성장판 검사 등은 초등생 이상의 어린이들이 해야 변별력을 가지며, 영유아의 경우 평균 3백분위수 미만 (100명 중 3번째 미만)인 경우에만 검사를 권장드린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때문에 꾸준하게 아이 성장이 더 더뎌져 3백분수 미만으로 떨어지진 않을까 질병관리청에서 만든 질병계산기 또는 성장도표를 통해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2. 아기성장발달 계산기
먼저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정책정보 > 만성질환 > 기준관리 > 소아청소년성장도표] 순으로 들어가면 성장상태 측정 계산기로 접속할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그 부분을 누르면 계산기 페이지가 뜹니다.
그리고 빈칸에 자녀의 정보를 모두 기입하여 줍니다. 그리고 측정을 누르면 신장, 체중, 머리둘레, 체질량 지수까지 또래 개월수의 맞춰 그래프와 수치가 계산되어 나옵니다.
저희 아이의 경우 키만 놓고 봤을 때 13.4%라는 하위에 속하지만 3백 분 위수에 속할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판정에 보시면 정상 범위로 기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시면 하단선인 주황색에 자녀의 수치가 걸치거나, 아래로 떨어지면 전문의를 찾아가 보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해당 방법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디테일하게 계산하여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합니다.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 저신장, 비만, 저체중 등 다양한 소아 성장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성장도표
자녀의 성장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성장도표를 보는 것입니다. 매년 10년마다 질병관리본부에서 해당 수치를 산출하여 공표하고 있으며 남과 여, 개월수에 따라 각분 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도표는 어린이 소아청소년과에 부착되어 있는 도표이며, 정확한 디테일은 위의 계산기를 활용하거나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의 도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저신장 선별 기준인 3백 분위 미만이기 때문에 위 도표에서 보여주는 평균값 수치보다 많이 떨어진다면 계산기를 통하여 정확하게 확인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4. 키 크는데 좋은 스트레칭
키 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트레칭 7가지 방법입니다. 대부분 쉽게 앉은 자리에서 할 수 있으면 간단하게 발목을 돌리거나, 고관절을 스트레칭하며 좋은 자극을 줄 수 있는 동작입니다.
혹시라도 아기 키에 걱정하고 계시는 부모가 있다면 위 운동 방법을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함께 하면 좋은 정보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파리 없애는 법 4가지 (퇴치제, 트랩 등) (0) | 2023.05.31 |
---|---|
우주패스 라이프 올 혜택 차이 상세 비교 (할인 방법) (2) | 2023.05.30 |
청첩장 문구 인사말 작성 한방에 정리 (0) | 2023.05.25 |
올리브영 바디미스트 3가지 (등드름 시카케어) (0) | 2023.05.23 |
TGI 프라이데이 할인 방법 (통신사, 쿠폰, 생일) (1)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