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묵은쌀 활용법 7가지 알고 처리하자

by 떡집사장 2023. 4. 7.

해당 블로그에서 발행되는 콘텐츠 중 일부 글에는 제휴 및 홍보 관련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묵은쌀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금일 소개해드릴 내용은 묵은쌀 활용법 7가지입니다. 

 

묵은쌀-사진
묵은쌀-모습

1. 떡

가장 흔하게 묵은쌀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떡의 종류는 많이 있지만 보통 묵은쌀로 하는 떡은 가래떡입니다. 가래떡은 떡국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떡볶이로도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합니다. 또한 냉동실에 넣어서 그때그때 요리에 해 먹기에 좋습니다. 

 

하지만 쌀의 상태가 많이 안 좋다면 가래떡을 뽑았을 때 갈라져서 나오는 문제도 있으니 본인의 쌀 상태에 대해 고민해 보신 후 떡집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가래떡 외에는 묵은쌀로 만든 백설기도 많이 찾으시는 떡이니 참고 바랍니다.

 

2. 식혜

쌀이 많이 묵어도 식혜를 만드는 데는 무리가 없습니다. 경상도에서는 감주라고도 불립니다. 식혜를 만들기 위해 재료준비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큰 밥솥과 솥이 있다면 충분히 집에서 맛있는 식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떡을 만들기에도 안 좋은 쌀도 식혜로는 만들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3. 새알심

묵은쌀을 불린 후 가루로 내어 만들 수 있는 것이 바로 새알심입니다. 멥쌀과 찹쌀을 섞어 만드는 것이 보통이고요. 많이 만든 후에 냉동실에 넣어두시면 그때그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새알심을 이용하여 죽이나 미역국 등에 넣어서 먹으면 됩니다.

 

4. 뻥튀기(튀밥)

요즘은 뻥튀기집이 보기 힘들지만 예전에는 많이 활용하던 방식입니다. 묵은쌀 들고 들어가서 나올 때는 뻥튀기 들고 나옵니다. 쌀로 만든 뻥튀기를 보통 튀밥이라고도 부르고요. 요즘은 시장에 가야 보통 만날 수 있으니 묵은쌀이 있다면 들고 시장으로 가셔서 좋은 간식으로 바꾸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튀밥은 강정으로도 다시금 만들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5. 막걸리

최근 예능에서 연예인 집에서 수제 막걸리를 만들어 먹는 장면이 송출되면서 집에서 만들어 드시는 분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쌀을 발효해서 만드는 술인 막걸리는 묵을 쌀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번거로운 과정이지만, 이를 즐기시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술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충분히 도전해 볼 수 있습니다.

 

6. 풀국(김장)

보통 김장할 때 만드는 풀국은 찹쌀을 이용하여 만듭니다. 하지만 최근 TV방송 프로에서 멥쌀을 이용하여 풀국 만드는 법이 소개되어 많은 분들이 멥쌀로 풀국을 만들어 드십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묵은쌀을 빻아 쌀가루를 만들어 두셔야 됩니다.

 

7. 쌀가루

묵은쌀을 빻아 쌀가루로 만들어 놓으면 다양하게 쓸모가 있습니다. 전을 부치거나, 반죽을 해서 면, 수제비 등을 만들 때도 넣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요즘은 베이킹 재료로 다양하게 쌀가루가 들어가기 때문에 묵은쌀을 쌀가루로 변환시켜 냉동실에 일정량 담아두면 좋습니다. 

 

 

이상으로 묵은쌀 활용법 7가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밖에도 제습제나 방향제로 사용한다는 분들도 있었지만, 대중적인 방법은 아니기에 위 방법들로만 소개해드렸습니다. 묵은쌀 처리 때문에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댓글